본문 바로가기

서양 클래식 음악7

멘델스존의 성악곡(聖樂, 聲樂):칸타타 "시편 42", "오라토리오 엘리야" 등 멘델스존이라는 음악가를 처음 알게 된 것은 그의 바이올린 협주곡 E-minor을 통해서였던 것 같다. 그리고 다시 그가 나의 주의를 끌었던 음악은 교향곡 4번<spa.. 2024. 4. 11.
아레초의 귀도 가톨릭 교회는 11세기를 전후한 이 시기에 커다란 내적 쇄신과 개혁 운동을 펼쳐 나간다. 그리고 오늘날 서양 중세를 떠올릴 때 교회가 세속 권력를 압도하는 신정 체제를 연상하는 배경이 된다. 그리고 이 개혁 운동의 긍정적인 에너지가 교회 음악의 발전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는 데 이러한 배경에서 아레초의 귀도(995?~1033?)라는 베네딕토회 수사를 기억해야만 한다(아레초라는 도시는 피렌체에서 조금 아래에 있다). 그는 원래 이태리 북동부 베네치아 아래 포 강 하류의 도시, 폼포사 수도원의 수사였다. 이 시기 미사 전례곡은 口傳(구전) 내지 半(반)구전 형태로 통일된 형식 없이 중구 난방으로 연주되고 있었고 귀도는 이 문제를 ‘記譜(기보;악보를 작성)’를 통해서 해결할 수 있다고 보았다. 미사에서 先.. 2024. 2. 24.
수학과 서양 클래식 음악 서양 음악의 본질과 그 유래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수학과의 상관 관계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인 것처럼 보인다. 오늘날, 고전 음악을 비롯해 대중 음악에 이르기까지 대부분의 음악 장르는 서구의 음악적 전통과 그 유산으로 말미암은 것이라고 평가해도 좋을 것이다. 그리고 그 지배적인 힘의 근원은 음악을 수학적 과학적으로 이해하려 했던 그들의 문화적 철학적 전통에서 비롯되는 것처럼 보인다. 서양 사회에서는 일반적으로 고전 후기 혹은 중세 초기에 엘리트를 위한 교양 교과로 自由學藝(자유학예) 라 불리는 7개의 교과목을 젊은이들에게 가르쳐 왔다. 거기에는 수사학, 문법, 논리학의 3學(학)과 수학에 바탕한 음악, 기하학, 대수학, 천문학의 4果(과)가 커리큘럼으로 되어 있었다. 그리고 이것이 오늘날 대학 교육에서 인문.. 2024. 2. 19.
음악가, 장 자크 루소 사회 사상가로서 잘 알려진 장 자크 루소가 음악가 또는 음악 이론가로서도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는 사실은 사람들이 잘 알지 못한다. 우선, 음악 이론가로서 그는 18세기의 프랑스 계몽주의 서물의 결정체라고도 말할 수 있는 백과사전(Diderot’s and d'Alembert’s Encyclopédie)에서의 음악 부분을 모두 집필했다. 이 백과사전은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그것과는 다르게 그 시대 진보적 혁신적 사상의 집약체였다. 종교적 도그마에서 벗어나 경험과 이성에 기반한 구체적 사실을 바탕으로 구체제를 비판하고자 했던 시대정신이 그대로 응축되어 있는 혁명적 不穩(불온) 서적이었다. 장 자크 루소는 스위스 제네바의 부유한 시계 비지니스를 하는 집안에서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는 상류 계급 출신이었던 것.. 2024. 1. 21.